1. 개별소비세 감면 연장 및 한도 상향 (전기차·수소차)
2025년부터 전기차와 수소전기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감면 혜택이 2년 더 연장되었습니다. 전기차는 기존처럼 300만원 한도, 수소전기차는 400만원 한도가 유지되며, 감면 적용 기한은 기존 2024년 12월 31일에서 2026년 12월 31일까지로 연장됩니다 Always Smile Day조선일보+8다나와 자동차+8다음 뉴스+8.
이와 더불어, 교육세(개소세의 30%)도 감면 대상에 포함되며, 300만원 이하 개소세 전액 감면 시 교육세도 면제, 300만원 초과분 한도 내 감면 시 이에 비례하여 교육세가 감면됩니다 Easy Law.
한마디로 요약하면, 2025–2026년에도 전기차·수소차 구매 시 개별소비세 부담이 대폭 줄어든다는 의미입니다.
2. 취득세 감면 확대 유지 (전기차·수소차)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는 취득세 감면 혜택도 계속됩니다. 한도는 140만원으로 동일하며, 전기차는 2026년, 수소전기차는 2027년 말까지 연장 전기차 충전소+10다나와 자동차+10Always Smile Day+10.
즉, 차량 등록 시 초기에 내야 할 세금을 최대 140만원까지 깎아주기 때문에, 실구매자 입장에서는 등록 시 부담이 크게 낮아집니다.
또한 관련 법률(지방세특례제한법, 조세특례제한법) 상 감면 범위와 시한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어, 정책의 안정성도 확보된 상황입니다.
3. 하이브리드 세제혜택 축소 (하이브리드차)
하이브리드차량에 대한 변화는 한층 아쉽습니다. 전기·수소차와 달리 세제 혜택이 축소되거나 종료됩니다.
우선 개별소비세 감면 한도가 기존 100만원에서 70만원으로 줄고, 감면 기간은 2026년까지 연장되지만, 취득세 감면은 2024년 말로 종료되며 2025년부터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Easy LawCarGuy+1Easy Law+1Hyundai+4다나와 자동차+4CarGuy+4.
따라서 하이브리드차 구매자라면 세제 혜택이 이전보다 줄어들고, 실구매가 상승 요인이 된다는 점을 선제적으로 미리 고려해야 합니다.
4. 하반기 개소세 인하 특례 재시행 (2025.1–6월)
2023년에 종료된 개별소비세 30% 인하(한도 100만원) 정책이 2025년 1월 3일부터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다시 시행됩니다 impacton.net+10다나와 자동차+10다음 뉴스+10.
즉, 2025년 상반기에는 전 차종(전기·수소·내연기관 포함) 구매 시, 최대 100만원까지 추가적 세금 인하 혜택이 적용됩니다.
이 조치는 소비자 부담 완화 및 내수 시장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며, 차량 구매 계획 중이라면 ‘상반기 등록’을 적극 고려할 만한 합리적 동기가 됩니다.
5. 다자녀·장애인·국가유공자 등의 취득세 감면 강화
다자녀,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사회적 약자층에 대한 취득세 감면도 확대 및 연장되었습니다.
- 다자녀 가정: 3자녀 이상 → 취득세 전액 면제, 2자녀 이상 → 50% 감면(승용차 기준 70만원 한도), 2027년 말까지 적용 Easy Law+5다나와 자동차+5CarGuy+5.
-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취득세 및 자동차세 100% 또는 50% 면제 혜택 2027년까지 유지 .
또한 소형차, 경형차, 버스·택시·중고차 등에 대한 취득세 감면도 함께 연장되며, 천연가스 버스는 감면율이 줄었지만 전기·수소전기버스는 100% 취득세 면제가 2027년까지 연장됩니다.
✅ 요약표
전기차 개별소비세 | 최대 300만원 감면 | 2026.12.31까지 | 교육세 포함 |
수소차 개별소비세 | 최대 400만원 감면 | 2026.12.31까지 | 교육세 포함 |
전기·수소 취득세 | 최대 140만원 감면 | 전기:2026 / 수소:2027 | |
개소세 인하 특례 | 30%, 최대 100만원 | 2025.1.3~6.30 | 전 차종 |
하이브리드차 개소세 | 최대 70만원 감면 | 2026.12.31까지 | 취득세 제외 |
다자녀 가정 취득세 | 2자녀 50% / 3자녀 전액 | 2027년까지 | |
장애인·유공자 등 | 100% 또는 50% 면제 | 2027년까지 | |
전기·수소버스 등 | 취득세 100% 면제 | 2027년까지 |
✅ 결론 및 권고
- 전기·수소차 구매 희망자는 2026년 말 이전 등록을 노리면, 개별소비세 + 취득세 혜택을 최대한 받을 수 있어 경제적입니다.
- **2025년 상반기(1~6월)**에는 모든 차종 구매에 대해 개소세 30% 인하 특례가 적용되므로, 구매 타이밍을 전략적으로 조율하면 좋습니다.
- 하이브리드 차량 구매 예정이라면, 2025~2026년 중이라도 세제 혜택이 줄어든다는 점을 반드시 감안해야 합니다.
- 다자녀, 장애인, 유공자 등 사회적 약자층은 취득세 면제 범위가 확대됐으므로, 관련 가족이라면 꼭 혜택을 챙기세요.
'전기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자체별 전기차 보조금 차이, 내 지역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2) | 2025.07.15 |
---|---|
전기차 타면 얼마나 아낄 수 있을까? 세제 혜택 실전 계산 (1) | 2025.07.15 |
전기차 구매자의 필수 정보: 세금 감면 및 환급 가이드 (1) | 2025.07.14 |
전기차 보조금 신청 방법과 절차, 이것만 보면 끝! (3) | 2025.07.13 |
전기차 연말정산 혜택 정리: 세액공제 받을 수 있는 조건은? (1) | 2025.07.13 |
전기차 구매하면 세금도 줄어든다? 취득세 감면부터 등록세까지 (2) | 2025.07.13 |
2025년 기준 전기차 보조금 총정리: 국가 + 지자체별 차이점 (3) | 2025.07.12 |
전기차 구매 시 받을 수 있는 세금 감면과 보조금 완벽 정리 (1) | 2025.07.12 |